1991년 소말리아에서는 잦은 내전이 일어나고 있었는데, 대한민국 대사관은 UN가입을 위해 소말리아 수도인 모가디슈를 방문하게 된다. 그러던 중 모가디슈에서도 갑작스런 내전이 일어나게 되어 모든 통신이 끊기게 된다. 밖은 온통 총성과 포탄이 빗발치고 그곳 아이들 또한 재미삼아 총을 들고 다니며 위협을 일삼는다. 외부와 통신이 끊긴 체 하루하루를 버텨 가던 와중 북한 대사관 일행들이 대한민국 대사관의 문을 두드리는데.. 생존을 위해 도움을 요청하는 북한 대사관의 일행. 잠시의 서로에 대한 의심과 대치 상황이 있었지만 북한 대사관 일행을 들이게 되고 하룻밤을 같이 보내게 된다. 독이 든 것은 아닌지 의심의 눈초리로 저녁식사 시간을 갖기도 하였고, 한 편에선 이들을 전향시키기 위해 몰래 공작을 벌이는 인물도 있었지만 대사관의 개입으로 일단락 내고 다음날은 각자 도움을 요청할 대사관을 찾아나선다.
그들의 목표는 하나 이곳을 탈출하는 것이기에 의기투합하여 그들의 남아 있는 차와 지원받은 차를 온갖 책들로 무장한체 이탈리아 대사관으로 향한다. 조심스럽게 빠져나가던 중 소말리아군에게 백기 손잡이가 총으로 오해 받아 위기에 놓이게 된다. 끈질기게 따라 붙은 소말리아군 백기를 들며 투항하던 중 북한의 통신기사가 끝내 총을 맞고 죽게된다.
무사히 케냐에 도착한 후 서로 헬기 안에서 포옹하며 인사를 나누고 밖에서는 서로 모르는 척을 하며 헤어지게 된다.
모가디슈는 실화를 바탕으로 한 영화라는 점에서 주목을 많이 받았다. 또한, 모가디슈를 통해서 실제 사건인 당시 한국 공관 철수 사건과 소말리아의 역사도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그렇다면, 영화와 실제 사건속 사실은 어느 정도 일치하고 어느 정도 다를것인가? 영화 속에서 강한 애국심과 이미지를 보여주는 조인성의 역할인 참사관 강대진. 사실 강대진은 영화속에만 등장하는 인물이다. 실제로는 주소말리아대사 아래 일하는 부하 직원은 존재했지만 안기부에서 파견 나온 정보원은 없었다. 그리고 강대진이 없었던 것 만큼 그가 한 것처럼 북한 직원들의 전향을 위한 공작 역시 없었다고 한다. 실제로는 두 공관 관계자들은 이념 갈등이나 그외 다툼 없이 3박 4일 동안 무사히 잘 지냈던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영화 속에서 가장 손에 땀을 쥐는 부분은 이탈리아 대사관으로 마지막 이동을 할 때, 차를 책으로 무장하는 부분이다. 사실 이러한 무장 없이 그냥 운전해서 갔다고 한다. 이 사실이 더 영화 같았기에 류승완 감독은 책으로 무장하는 장치를 추가했다. 마지막으로 사실이 아니었으면 하는 부분이다. 영화 속에서는 이탈리아 대사관에 도착할 즈음 운전을 맡았던 북한 직원이 총상을 입는다. 이는 사실이었으며, 한 명의 사망자를 낳은 안타까운 사건이었다.
자치를 인정받지 못하여 소말릴란드와 풀틀란드로 나뉘어 운영되고 있다. 위치상 수에즈 운하와 연결된 마지막 관문으로 역사적으로 무역의 중요한 요충지였다. 고대부터 풍요롭고 잘사는 지역이었지만 식민지 시대에는 강대국에게 점령당할 수밖에 없었다. 이탈리아와 영국의 식민지로 있다가 독립 후 UN의 신탁통치를 거쳐 1960년에 현재의 소말리아가 되었다.
1977년 시아드 바레가 소련의 도움을 받아 쿠테타를 일으키고 사회주의 개혁을 통해 성공적인 발전을 이루었지만 역사적으로 원수의 나라였던 에티오피아와 전쟁을 벌입니다. 결과는 패배였고 중재하던 소련 역시 지원을 끊어버리고 그때부터 몰락하기 시작한다. 원래 부족국가였고 과거 통일된적이 없었던 지역이라 지역별로 각각의 세력이 만들어 지게 되며 시아드 바레 역시 뺏기지 않기 위해 독재 장기 집권을 시작한다.
시아드 바레의 집권은 1991년 반란군이 모가디슈를 점령할 떄까지 계속된다. 이때의 이야기를 담은 영화가 바로 모가디슈이다. 소말리아는 안타깝게도 지금까지 강대국들의 관심 밖에서 내전이 계속되는 상황이다. 국민들은 어수선한 내륙의 상황 때문에 조업이나 해적 일을 할 수 밖에 없는 상황에 놓였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수많은 나라들은 자국 국민들에게 소말리아 여행을 절대 금지한 상황이다. 하루속히 소말리아의 상황이 나아져 소말리아 국민들이 더 나은 삶을 영위할 수 있길 바란다.
댓글 영역